이전 글 : [Life's log] - 직장인을 위한 월급관리 기본 편 이제 내 지출이 어떤지 파악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관리도 하고 있습니다. 그럼 무엇을 해야 할까요? 머릿속에 가계부가 있어 모든 수입과 지출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카드 결제금액이 나가고, 월세가 나가고, 공과금이 나가고, 경조사 등 통장에서 출금할 일이 생기고, 적금 자동이체가 빠져나가고 그렇게 무수히 쌓여가는 입출금 내역은 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없게 만들죠. 그 때 필요한 것이 통장을 쪼개는 것입니다. 1. 통장 쪼개기 기본적으로는 월급 계좌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의 통장은 사실, 개인의 용도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장을 쪼개야..
월급을 받기 시작하면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 지 고민이 시작됩니다. 통장을 나눠야 한다, 월급의 몇% 이상은 저축해야 한다 등 주위에서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되죠. 이 글에서는 제 경험을 기준으로 월급관리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1. 지출 패턴을 파악하라 월급을 받자 마자 적금을 들고 보험을 들고 하는 행동은 개인적으로는 좋게 보지 않습니다. - 적금에 돈이 빠져나가고 남은 돈에 자신의 생활을 맞추지 못할 가능성 - 오래 묵힐 돈의 비중을 제대로 산정하지 못할 가능성 - 월급의 2배 가량의 비상금은 안전을 위해 갖고 있어야 하는 점 위 이유 외에도 여러 문제가 있지만, 결론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대략적인 한달 생활..
- Total
- Today
- Yesterday
- IBK
- 월급관리
- 신용카드 혜택
- 우체국 영리한
- 신용카드
- K-First
- 수수료
- 교통할인
- 체크카드
- 통합할인한도
- CJ 국민카드
- Choice체크카드
- 영리한 체크
- 뷰티Q
- 카드할인
- 비과세 해외펀드
- 케이퍼스트
- KDB
- 파인테크
- 교툥비 할인
- 통장
- 연말정산
- 직장인
- 신한카드
- 산업은행
- 직구 할인
- Always on
- 실적제외
- 카드혜택
- 월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