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혜택이 좋은 수시입출금 상품 소개

underline_ 2017. 11. 25. 20:01

이전 포스트에서 비상금은 CMA 계좌에 넣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혜택이 좋은 수시입출금 상품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볼까 합니다.


이전 글 - [Life's log] - 직장인을 위한 월급관리 초심자 편



수시입출금 통장의 경우 수수료 혜택이 있는 통장은 사실 굉장히 많습니다. 찾아보면 모든 은행에 적어도 하나씩은 수수료 혜택이 좋은 상품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금리 또한 나쁘지 않게 제공하는 상품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제가 이야기하는 상품은 금액 한도가 있는 상품이 대부분입니다. 아무리 수시입출금 상품이나 CMA의 금리가 좋다 한들 예/적금 상품을 따라가지는 못하는 만큼, 일정 금액 이상의 돈이 일반 통장에 쌓이게 되면 예/적금 상품으로 옮기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범위 내에서 이야기하는 만큼 제가 모르는 금리가 좋은 상품이 많이 있을테니 댓글로 상품에 대해 알려주시면 포스트의 내용을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 SC제일은행 내지갑통장


상품 URL :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pl/se/popup/SavingDetailPop.jsp?id=2464


특징 : 한도 200, 최대금리 2.7%(금액별 구간 차등), 급여이체 조건 충족시 모든 은행 ATM 출금수수료 무료


사실 조건이 다소 까다로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소개할지 말지를 조금 고민한 상품입니다.


조건이 두 개가 있는데 첫번째 조건은 급여이체 혹은 70만원 이상의 입금이라는 손쉬운 조건인 만큼 충족하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조건이 SC제일은행의 신용 혹은 체크를 30만원 이상 이용하고 해당 통장을 결제계좌로 잡거나, 자동이체가 세 건 이상이거나, 통신요금 자동이체를 하거나 등인데 사실 충족하기 쉽지 않습니다.


SC제일은행은 신용카드 발급이 까다롭기로 유명하고, 체크카드는 리워드360 이후로 쓸 만한 체크가 없습니다. 자동이체는 최근에 대부분의 자동이체(관리비, 전기료, 도시가스비, 보험료 등등)가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상품이 있거나 하다못해 실적 인정 용도로라도 쓸 수 있는 만큼 통장에 자동이체를 거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제가 별도의 포스트로 언급한 통신요금 혜택은 말할 것도 없겠죠.


통신요금 혜택 받는 법은 여기서 - [Life's log] - 카드 혜택받기 - 입문 편


조건 1만 충족하더라도 2.1%의 금리(실제로는 50만원 구간은 0.1%의 금리라 1.6 정도죠)의 금리를 제공하므로 나쁘지 않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최대 200만원이라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급여이체 시 현금과 동일한 리워드포인트도 300포인트가 지급되는 만큼 저는 급여이체를 받는 계좌로 쏠쏠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계좌에서 인출을 하지 않기에 실제 사용한 적은 손에 꼽지만, 급여이체 조건을 충족하면 모든 은행 ATM에서 출금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 산업은행 KDB Hi 입출금 통장


상품 URL : https://wbiz.kdb.co.kr/wb/simpleJsp.do?actionId=ADWBFM4100001


특징 : 한도 없음, 최대금리 1.5%, 모든 은행/편의점/지하철 ATM 출금 수수료 무료(월 1000건)


금리가 1.1%로 가장 좋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사라진 전북은행의 JB다이렉트 입출금 계좌와 더불어 수수료 혜택이 좋은 상품으로 유명합니다.


제가 가입할 당시만 해도 왠만한 예/적금 상품 뺨치는 3%대의 고금리를 제공했지만, 몇 차례의 금리 변경을 거쳐 지금은 1.1%의 금리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1.1%의 금리를 적용받는 별도의 조건은 없고, 모든 은행/편의점/지하철 ATM 출금 수수료가 면제입니다. 산업/우리/우체국 ATM에서는 입금 수수료도 면제입니다.


제가 이전에 소개한 산업은행 체크카드와 같이 사용한다면 카드 혜택과 수수료 무료 혜택을 모두 누리실 수 있습니다.


KDB 체크카드 소개는 이곳에서 - [Life's log] - 잘 알려지지 않은 괜찮은 카드 - KDB 체크카드


극히 일부의 CD기에서 수수료를 물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저는 한 번도 수수료를 물어본 적이 없네요. 가장 유용하게 쓰였을 때는 급하게 지방에 경조사 때문에 내려갔을 때, 건물 안에 있던 CD기에서도 수수료 없이 돈을 인출했던 것이었습니다.


   - K뱅크 듀얼K 입출금통장,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이제부터는 소개 해 드리는 수시입출금 상품들은 제가 가입하진 않았지만 괜찮기로 소문난 상품들입니다. 그 첫 번째는 올해 문을 연 인터넷 전문은행들의 수시입출금 상품들인데요.


두 상품 모두 최대 1.2%의 금리를 제공하지만, 금리 혜택을 보기 위해선 남길 금액을 설정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수시입출금 통장에 대해 이 금액은 사용하지 않겠다는 제한을 거는 방식이죠.


K뱅크 듀얼K 입출금통장의 경우 남길 금액을 1개월간 유지해야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는 일 단위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가 좀 더 쓰기 좋습니다.


다만 그렇게까지 해서 혜택을 보는게 1.2%인 만큼, 제 경우에는 다음 글에서 소개할 CMA 계좌에서 굳이 옮겨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두 인터넷전문은행 모두 이체 수수료는 없고, K뱅크는 우리은행/GS25 ATM에서, 카카오뱅크는 올해 말까지 모든 은행 ATM/CU,세븐일레븐 ATM에서 출금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 저축은행 수시입출금 통장들


저축은행에서도 높은 금리의 수시입출금 통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OK저축은행의 OK대박통장, 페퍼저축은행의 수퍼저축예금, 공평저축은행의 아낌없이 주는 저축예금 등인데요.


OK대박통장 - https://www.oksavingsbank.com/okH0003/okH0003L01.do?wise_area1=main&wise_area2=contents&wise_area3=bt14&gdsClsnCd=HD002&gdsCd=DP017


수퍼저축예금 - http://www.pepperbank.kr/deposite/product.do?sub_category=10


아낌없이 주는 저축예금 - http://m.gpsavings.com/gp_saving_product.jsp


공통적으로 1.7%의 금리를 제공하고, 상품에 따라서는 금액 한도가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겪은 세대이기도 하고 외자계 저축은행에 대해 그렇게 호의적인 시선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입을 하진 않았지만, 예금자 보호도 되는 만큼 돈을 못 돌려받을 걱정은 딱히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뱅크런 사태가 나면 돈을 돌려받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말이죠.


최근에는 저축은행들도 경쟁적으로 비대면 가입을 도입한 만큼 지점이 멀어서 가입이 어려울 일도 없습니다.



지금까지 혜택이 좋은 수시입출금 통장에 대해 살펴 보았는데요, 제 경우는 내지갑통장을 급여계좌로, Hi 입출금 통장을 출금용 계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상금은 CMA 계좌에 넣어 두는데, 다음 글에서는 CMA 계좌들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내용은 2017년 11월을 기준으로 하며, 상품 혜택이 변경되어도 글의 내용이 갱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잘못 기술된 정보나 더 좋은 혜택에 대한 댓글은 얼마든지 환영합니다.